2024년부터 한국의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Upbit), 빗썸(Bithumb)
등에서의 자산(코인) 출금・이체 관련 규제는 강화되었으며,
이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을 근거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전 거래소간 시세차익으로 돈버는 것이 유행이었죠ㅠ
정부의 목적은 자금세탁 방지(AML)와 불법 자금 이동 방지입니다.
---
✅ 1. 무엇이 규제되었나?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외부 지갑(월렛)으로 자산을 출금하거나
이체할 때 다음과 같은 제한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 출금 가능 대상 제한
- 본인 명의의 지갑만 출금 가능
→ 업비트/빗썸은 본인 소유임이 확인된 지갑(등록된 지갑)으로만 출금을 허용합니다.
→ 예: 메타마스크, 클립, 렛저(Ledger) 등의 외부 지갑은 사전 등록 후 출금 가능
- 타인 지갑으로의 출금 금지
→ 친구, 가족이더라도 본인 명의가 아니라면 출금 불가
- 미등록 지갑 출금 금지
→ 사전에 등록하지 않은 지갑 주소로는 출금 불가
---
📦 출금 금액 제한
- 일일 출금 한도 존재 (거래소별 상이)
→ 예: 업비트는 본인 인증 단계를 통해 하루 최대 수천만 원 한도
- 비정상 출금 시도 시 출금 지연 또는 차단
---
🧾 지갑 등록 시 확인 요건
- 지갑 소유 증명 필요
- 메타마스크 등 외부 지갑은 서명(Sign) 기능을 통해 본인 소유 증명
- 하드월렛(Ledger 등)은 등록 절차에 따라 인증 절차 필요
- 지갑 주소 등록 후 심사 (보통 24시간~48시간 소요)
---
❓ 왜 이런 규제를 하나요?
이러한 규제는 주로 자금세탁방지(AML), 테러자금차단(CFT) 등을 위한
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권고사항을 따르는 것입니다.
📌 주요 이유
1. 범죄 자금 차단 (보이스피싱, 마약 거래 등)
2. 테러 조직 등의 불법 자금 흐름 차단
3. 해외 거래소를 통한 자금세탁 방지
4. 국제 기준 준수 (FATF의 '트래블 룰')
---
🔀 대안이나 차선책은 없을까?
✅ 1. 트래블 룰(Travel Rule) 연동된 거래소 간 이체
- 업비트 ↔ 빗썸 ↔ 코인원 ↔ 고팍스 등은 CODE 또는 VerifyVASP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이체 가능
- 이 경우, 별도의 지갑 등록 없이도 출금 가능
- 단, 수수료와 시간은 발생함
✅ 2. 외부 지갑 등록 후 사용
- 메타마스크, 렛저, 카이카스 등 외부 지갑을 사전 등록하면 사용 가능
- 단, 주소 변경 시마다 재등록 필요
✅ 3. P2P 거래 또는 탈중앙화 거래소(DEX) 사용
- Uniswap, PancakeSwap 등 DEX를 활용한 거래 가능
- 단, 리스크 존재 (사기, 해킹, KYC 미적용 등)
✅ 4. 외국 거래소 이용 (주의 필요)
- 바이낸스(Binance), 쿠코인(KuCoin) 등은 규제 범위 밖이지만
- 국내 거래소에서 외국 거래소로 직접 송금은 지갑 등록이 돼 있어야 함
- 외국 거래소도 KYC 강화 추세임
- 세금 및 법적 이슈 발생 가능
---
🔍 참고
'코인 >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코인이 뭔데 중요해 (0) | 2025.04.01 |
---|---|
새 SEC 위원장이 코인투자자 폴에킨스? (6) | 2025.03.31 |
코인 시장 회복 예상 시점 (4) | 2025.03.26 |
2021년과 2025년 코인방향 차이점 (6) | 2025.03.25 |
코인에도 알아두면 돈이 되는 경제 상식 (2)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