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알트코인

파이 말고도? 상장 전 가격 형성된 코인 사례들

by 무무야코인 2025. 5. 11.
반응형

 

정식 상장 없이 시세를 만든 코인들

 

 

파이코인만이 아니다, ‘비공식 가격’의 시대가 온다

 

보통 코인의 가격은 거래소 상장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런데 요즘, 상장 없이도 ‘가격’을 가진 코인이 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파이코인(Pi Coin).

아직 메인넷도, 상장도 안 됐는데도

이미 P2P 시장에서는 수십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건 단순한 특이점일까?

아니면 암호화폐 시장의 새로운 흐름일까?

 

 

 

 

파이코인, ‘가격 없는 코인’에서 ‘거래되는 자산’으로

 

파이코인은 ‘탈거래소형 생태계’라는 새로운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기술보다도 커뮤니티와 네트워크의 가치로 시세가 만들어지는 구조다.

 

 

 

 

파이 말고도? 상장 전 가격 형성된 코인 사례들

 

 

1. Worldcoin (WLD)

 

 

  • 망막 인증 기반으로 토큰을 분배하며 커뮤니티를 선형 구축
  • 상장 전 일부 OTC 거래 발생 → 월드코인 앱 내 수령 후 교환
  • **“인증을 한 사람만 가진 자산”**이라는 희소성 기반 시세 형성

 

 

 

2. Sweatcoin (SWEAT)

 

 

  • 걸음 수 기반 토큰 지급 앱
  • 초기에 중앙화 거래소 없이 자체 앱 내 마켓 운영
  • 건강+보상이라는 실생활 연결성으로 가치 매김

 

 

 

3. StepN (GMT 초기 단계)

 

 

  • ‘Move-to-Earn’ 모델로 신발 NFT 구매 → 토큰 획득 구조
  • 정식 상장 전부터 NFT/코인 결합 거래로 가격 추정 움직임 발생
  • 생태계 사용자가 시세를 먼저 만들고, 시장이 따라온 케이스

 

 

 

 

 

그들의 공통점은?

 

 

‘가격’이 아니라 ‘가치’로 먼저 움직인 구조

즉, “거래소에서 팔 수 없지만, 누군가는 사고 싶어 하는 상태”가 시세의 시작점이 된 것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봐야 할 것

 

이런 ‘비공식 시세 코인’은

‘지금 당장 수익’보다는 ‘이 구조가 과연 시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를 보는 안목이 중요하다.

 

 

 

 

무무야 인사이트

 

 

거래소 없이도 시세는 생긴다

그 시세는 곧 기대의 집합체다

 

파이코인을 시작으로

우리는 “중앙거래소가 없어도 움직이는 시장”을 보고 있다.

이건 투기보다 더 흥미로운 실험이다.

 

하지만 동시에 조심해야 할 건,

공식 유통 구조 없이 부풀어진 가격은 쉽게 무너지기도 한다는 점.

“사용자 기반 + 유통 투명성 + 실사용 연결성”

이 세 가지가 없다면, 그 시세는 허상일 수도 있다.

 

 

 

 

정리하며

 

 

정식 상장이 없어도 시장은 반응한다

문제는, 그 반응이 진짜 구조를 반영하는가다

 

비정형 시장의 시세를 보는 눈이 생기면

상장 타이밍 전에 ‘기회를 선반영’하는 투자자가 될 수 있다.

 

 

 

#비상장코인시세 #파이코인 #Worldcoin #Sweatcoin #무무야코인

#거래소없이시세형성 #앱기반코인 #커뮤니티가치기반자산

#초기시장분석 #크립토미래유통모델

 

 

 

 

반응형